태그 | 톡하고
  • 북마크
톡하고

AI > KAIST

전체 10 건 - 1 페이지
회원사진 mokpung 2022-07-09

누리호 타고 우주 간 위성 모두 궤도에…임무달성까지 도전 계속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99484?rc=N&ntype=RANKING

197
회원사진 mokpung 2022-07-02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두번째 큐브위성 사출 성공(KAIST RANDEV)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이 두번째 큐브위성인 KAIST 큐브위성 'RANDEV' 사출에 성공하였습니다.연구진은 7.2(토) 오전 3시 42분경 KAIST 지상국으로 상태정보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으며, 위성의 상태가 안정화되면큐브위성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놓은 이미지를 다운받는 명령을 보내 양방향 교신을 시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성능검증위성에 실린 비디오카메라 시스템(VCS)이 우주 공간에서 촬영한 사출 순간을 공개합니다

251
회원사진 mokpung 2022-07-02

누리호 KAIST팀 큐브위성 상태정보 수신 성공…양방향 통신 시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에 실려 궤도에 올라간 성능검증위성에서 두번째로 분리된 큐브위성(초소형 위성)이 2일 지상국으로 상태정보(비콘신호)를 보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42분께 대전KAIST지상국에서 큐브위성 '랑데브'(RANDEV)의 첫 비콘신호를 받았다.방효충KAIST교수팀(항공우주공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연구실)이 개발한 이 위성은 전날(1일) 오후 4시38분께 성능검증위성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됐다.연구팀은 지상국을 통해20초를 주기로10여 차례 이상

119
회원사진 mokpung 2022-06-30

“마스크에 착 붙이면 체온 실시간 체크” KAIST ‘웨어러블 센서’ 개발

체온계 없이도 눈으로 실시간으로 온도변화를 체크 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온도에 감응하는 색 변화 염료를 전기방사 기술을 통해 나노섬유 멤브레인(얇은 막)에 적용해 인간의 체온을 색 변화를 통해 육안으로 손쉽게 감지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30일 밝혔다.색 변화식 센서는 오직 육안으로 센서의 물리화학적 변화(온도,pH등)를 감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상용화된 필름타입의 온도 감응 색 변화 센서는

118
회원사진 mokpung 2022-04-24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 원료로 에틸렌 만드는 촉매 개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구리알루미늄 촉매 모습[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DB금지]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한국에너지공과대(KENTECH),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과 공동으로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에틸렌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24일 밝혔다.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권영국 교수 연구팀은 신소재공학과 이종훈 교수팀,KENTECH김우열 교수팀,KAIST김현준 교수팀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활용해 에틸렌을 생산하는 구리알루미늄 합금 촉매를 개발했다.에틸렌은 플라스틱, 각종 건축 자재, 비닐, 합성 고무

61
회원사진 mokpung 2022-04-22

네이버-KAIST, 공동 연구센터 오픈…'초창의적 AI' 협력 속도

네이버가'KAIST-네이버 초창의적AI연구센터'의 전용 공간을 마련하고, 기술 연구 및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네이버는 최근 공개한 제2사옥 '1784' 4층에 총350평 규모의 전용 연구 공간을 구축하고,21일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간 오픈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연구센터 공간을 거점으로,KAIST의 연구진들과 더욱 활발하게 소통하며 긴밀한 연구협력을 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앞서 네이버는KAIST와 지난해 5월AI분야 연구 발전과 글로벌AI리더십 확보를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KAIST-네이버 초창의적AI연구센터

222
회원사진 mokpung 2022-02-04

KAIST, 모든 변종 코로나 이기는 중화항체 개발

계산적 단백질 디자인 기법을 이용한 항원 특정 부위를 인식하는 항체 발굴 개념도(KAIST제공)© 뉴스1국내 연구진이 오미크론을 포함해 현재 유행 중인 모든 코로나19변종 바이러스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중화항체를 개발했다.향후 출현할 수 있는 신·변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범용 코로나 치료항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4일KAIST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중화항체는 병원체가 신체에 침투했을 때 생화학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중화해 세포를 방어하는 치료용 항체를 말한다.코로나19발발 이후 세계 각국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