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 톡하고
  • 북마크
톡하고

> ADD

전체 5 건 - 1 페이지
회원사진 mokpung 2022-10-03

군, 정찰용 무인잠수정 2030년대 전력화…"전투용도 순차개발"

군 당국이 정찰용 무인잠수정을2030년대에 실전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국방부는 3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신원식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서 "정찰용 무인잠수정이2030년대에 전력화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그러면서 "정찰용 무인잠수정은2019년 5월에 제327차 합동참모회의에서 장기 신규소요가 결정된 전력으로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국방부는 "앞으로 정보함 등에서 운용하기 위한 유·무인 복합체계 운용개념을 정립하고 관련 기술을 병행해 개발할 예정이다"고 밝

420
회원사진 mokpung 2022-05-11

ADD, 탄도탄 탐지추적 레이다 핵심기술 국내 개발

탄도탄 탐지·추적용 레이다의 성능을 높일 핵심기술이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국방과학연구소(ADD)는 10일 “방위사업청 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토대로 전방위적 원천기술을 확보해 ‘탄두 분류 및 레이다 자원관리 최적화 기술’을 확보했다”며 “이 기술은 동시다발적인 탄도탄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했다”고 밝혔다.탄두 분류 및 레이다 자원관리 최적화 기술은 레이다가 탄도탄 탄두를 분류·추적하는 능력을 향상하고, 추진체·파편 등은 추적하지 않도록 해 레이다 자원 낭비를 막는 기술이다. 해외에서 기술이전을 회피하는

131
회원사진 mokpung 2022-03-09

"중력 3만배 충격도 견뎠다"…스마트포탄의 심장, 첨단 열전지 국산화 성공

ADD가 독자개발 '충격 활성식 열전지'를 가스건에서 발사해 탄자충격시험을 하는 모습. 중력의 약 3만배 이상에 달하는 충격에도 열전지는 안정성을 유지했다. /사진제공ADD포탄의 발사충격에 의해 스스로 작동하는 ‘충격 활성식 소형 고출력 열전지' 기술이 국산화됐다. 이를 통해 더 멀리 날고, 더 정확하게 표적을 타격하는 국산 차세대 스마트포탄 제작에 청신호가 켜졌다.국방과학연구소(ADD)는 국내 최초로 이 같은 열전지 기술을 독자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또한 이를 통해 별도의 외부전원 공급이 없는 유도포탄체계에도 열전지 탑재가 가

123
회원사진 mokpung 2022-02-23

잠수함서 연료전지용 수소 자체생산

ADD가 개발한 잠수함 연료전지용 메탄올 수증기 개질 플랜트. 국방과학연구소 제공잠수함에서 연료전지용 수소를 직접 생산해 잠항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순수 국내 기술력으로 개발됐다.국방과학연구소(ADD)는22일 ‘잠수함 연료전지용 메탄올 개질 플랜트(사진)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ADD가 이번에 독자 개발한 기술은 높은 비율로 수소를 포함한 메탄올을 연료로 활용하고, 연료개질 반응을 통해 고순도 수소를 잠수함 내에서 직접 생산하는 기술이다. 연료개질(fuelreforming)이란 연료 성분에서 화학 구조의 형태를 전환하고 그

104
회원사진 mokpung 2022-01-25

실제 촬영 없이도 3D 적외선 영상 만드는 기술 국산화

탱크·장갑차·전투기 등을 실제로 촬영하지 않고도 3차원(3D) 적외선 영상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를 통해 개발됐다.국방과학연구소(ADD) 부설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방산기술센터)는LIG넥스원과 함께 산학연 주관 핵심기술 응용연구 과제인 '대역별 적외선 표적 특성 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로 이 같은 기술을 확보했다고25일 밝혔다.센터에 따르면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은 '표적', 즉 피사체의 재질·발열량, 촬영 당시 기상·시간대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이 때문에 다양한 표적의 적외선 특성 정보를 확보하려면 그만큼 많은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