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톡하고

축구게시판

5명은 단 1분도 못 뛰었다…엔트리 구성·체력 관리조차 '실패' [아시안컵]

본문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4강(준결승)에서 탈락한 뒤 씁쓸하게 조기에 귀국한다. 대회 기간 내내 주축 선수들의 체력 부담이 도마 위에 올랐던 가운데, 5명은 단 1분도 그라운드를 누비지 못한 채 아시안컵 여정을 마쳤다. 애초에 최종 엔트리 구성부터 대회 기간 로테이션 등 체력 관리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셈이다.

이번 대회에서 그라운드를 밟아보지 못한 선수는 골키퍼 송범근(쇼난 벨마레)을 비롯해 김주성(FC서울) 김지수(브렌트퍼드) 이순민(대전하나시티즌) 문선민(전북 현대) 5명이었다. 김승규(알샤밥)가 훈련 중 십자인대 파열 부상을 당하지 않았다면 조현우(울산 HD) 역시 단 1분도 그라운드를 누비지 못하고 돌아왔을 가능성이 크다. 그나마 골키퍼 포지션의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필드 플레이어 4명이 단 1분도 출전하지 못한 건 쉬이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24일간 6경기나 치른 일정, 주축 선수들의 체력 부담이 극에 달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엔트리 구성 단계부터 이미 ‘헛발질’을 한 결과다. 사실 이순민과 문선민은 아시안컵 이전에도 클린스만 감독으로부터 출전 기회를 많이 받았던 선수들은 아니었다. 이순민과 문선민 모두 지난해 10월 튀니지전이 마지막 출전, 그것도 경기 막판 투입이 마지막이었다. 이후 A매치 기간 때마다 늘 소집됐지만 정작 벤치만 지킨 뒤 소속팀으로 돌아가곤 했다. 아시안컵 이전에도, 아시안컵에서도 엔트리를 채우는 정도의 역할에 그쳐버린 셈이다.

센터백 김주성과 김지수의 전 경기 결장은 더욱 안타까운 대목이다. 이번 대회는 23명에서 26명으로 엔트리가 확대됐는데, 클린스만 감독은 어린 선수들에게 아시안컵 기회를 준다는 명목으로 어린 선수들을 엔트리에 포함시켰다. 김주성은 2000년생, 김지수는 2004년생이다.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정승현, 김영권(이상 울산 HD)에 박진섭(전북)까지 가세하면서 이미 센터백 가용 자원은 4명인 상황에 김주성과 김지수가 더해진 것이다.

대회 내내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은 김민재를 중심으로 김영권 또는 정승현을 파트너로 활용하고, 박진섭을 후반 교체로 투입하는 일종의 루틴을 유지했다. 김주성과 김지수는 그저 벤치에 앉아 경기를 보거나 23명 경기 엔트리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었다. 센터백 ‘포화’는 단 4명만 소집돼 대회 내내 부상·부진 이슈로 흔들렸던 풀백 포지션과 더욱 비교됐다. 센터백 자원을 줄이고 풀백 포지션을 여유 있게 뽑지 않은 여파는 설영우의 혹사 수준의 출전 등으로 이어졌다. 





결국 최종 엔트리 구성 자체가 비정상적으로 꾸려졌다는 뜻이다. 이는 부임 후 적극적인 실험 등 선수풀을 넓히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았던 것과 큰 연관이 있다. 26명으로 늘어난 엔트리에 뜬금없이 어린 선수를 소집한 것, 그저 엔트리를 채우는 정도의 역할에 그친 선수들이 적지 않았던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클린스만 감독이 부임 후 1년 가까이 선수 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했고, 결국 26명의 엔트리를 전부 ‘활용 가능한’ 선수로 꾸리지 못한 것이다. 재택·외유 논란 속 K리그를 등한시했던 것과도 관련이 있다.

설상가상 대회 기간조차 다양하게 선수를 활용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 중원 포지션은 대회 기간 내내 흔들렸는데도 이순민에겐 끝내 외면을 받았다. 매 경기 선제 실점을 하면서 공격에 힘을 줘야 하는 상황이 많았는데도 문선민은 끝내 출전하지 못했다. 적절한 로테이션이 필요했던 말레이시아와의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사실상 최정예 라인업을 가동한 패착도 선수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했던 이유 중 하나가 됐다.

비단 단 1분도 뛰지 못한 선수뿐만이 아니다. 부상을 안은 채 대회에 참가하긴 했으나 김진수(전북)는 말레이시아전 이후 부상 여파가 없었는데도 토너먼트 내내 벤치만 지킨 것으로 전해졌다. 조규성(미트윌란)의 부진한 경기력에도 오현규(셀틱)는 교체로만 3경기에 나섰다. 호주전에서 교체로 출전해 깜짝 존재감을 보여줬던 양현준(셀틱)의 활용 시점도 너무 늦어버렸다.

손흥민은 단 1분도 쉬지 못했고, 이강인도 호주전 연장 추가시간에나 교체로 빠졌을 뿐 사실상 풀타임을 소화할 만큼 주축 선수들의 체력 소모가 큰 대회였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호주와의 토너먼트 2연전에서 모두 연장 승부를 펼치는 바람에 그 여파는 요르단과 4강전에서 집중력이 크게 떨어진 원인으로 작용했다. 결국 클린스만 감독은 대회 전 엔트리 구성부터 제대로 하지 못했고, 개막 후엔 전술적인 역량 부족은 물론 선수 활용마저 제대로 하지 못한 셈이 됐다. 결과는 역대 최고 전력으로도 허망한 4강 탈락, 64년 만의 우승 도전 무산이었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058 건 - 4 페이지
제목
레벨 목풍 69 0 0 2024.05.17
레벨 목풍 209 0 0 2023.10.05
레벨 목풍 61 0 0 2024.05.18
레벨 목풍 276 0 0 2023.10.06
레벨 목풍 59 0 0 2024.05.19
레벨 목풍 195 0 0 2023.10.07
레벨 목풍 49 0 0 2024.05.20
레벨 목풍 193 0 0 2023.10.07
레벨 목풍 57 0 0 2024.05.20
레벨 목풍 218 0 0 2023.10.08
레벨 목풍 73 0 0 2024.05.20
레벨 목풍 253 0 0 2023.10.08
레벨 목풍 49 0 0 2024.05.21
레벨 목풍 193 0 0 2023.10.09
레벨 목풍 50 0 0 2024.05.22
레벨 목풍 194 0 0 2023.10.10
레벨 목풍 38 0 0 2024.05.22
레벨 목풍 231 0 0 2023.10.10
레벨 목풍 40 0 0 2024.05.24
레벨 목풍 210 0 0 2023.10.11
레벨 목풍 49 0 0 2024.05.25
레벨 목풍 225 0 0 2023.10.12
레벨 목풍 31 0 0 2024.05.26
레벨 목풍 205 0 0 2023.10.13
레벨 목풍 42 0 0 2024.05.28
레벨 목풍 223 0 0 2023.10.14
레벨 목풍 29 0 0 2024.05.29
레벨 목풍 252 0 0 2023.10.15
레벨 목풍 23 0 0 2024.05.30
레벨 목풍 221 0 0 2023.10.16
레벨 목풍 20 0 0 2024.06.01
레벨 목풍 191 0 0 2023.10.17
레벨 목풍 248 0 0 2023.10.18
레벨 목풍 183 0 0 2023.10.20
레벨 목풍 173 0 0 2023.10.22
레벨 목풍 250 0 0 2023.10.23
레벨 목풍 188 0 0 2023.10.24
레벨 목풍 241 0 0 2023.10.25
레벨 목풍 368 0 0 2023.10.26
레벨 목풍 242 0 0 2023.10.27
레벨 목풍 266 0 0 2023.10.28
레벨 목풍 240 0 0 2023.10.29
레벨 목풍 233 0 0 2023.10.29
레벨 목풍 218 0 0 2023.10.30
레벨 목풍 236 0 0 2023.10.31
레벨 목풍 235 0 0 2023.11.01
레벨 목풍 218 0 0 2023.11.02
레벨 목풍 245 0 0 2023.11.03
레벨 목풍 260 0 0 2023.11.04
레벨 목풍 233 0 0 2023.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