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톡하고

축구게시판

클린스만 사실상 사퇴 거부…이제 정몽규 회장의 '결단'이 필요하다 [IS 시선]

본문



위르겐 클린스만(독일) 감독이 스스로 물러날 일은 없다.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실패에도 불구하고 자진 사퇴를 사실상 거부했다. 이제 시선은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에게 쏠린다. 클린스만 감독 체제에서 지난 1년의 여정과 아시안컵 실패를 보면 '결단'을 내릴 명분들은 충분하다.

클린스만 감독은 지난 7일(한국시간) 카타르 알라이얀의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요르단전 0-2 완패로 4강 탈락이 확정된 직후 “당장 해야 할 일은 한국으로 돌아가 대회를 분석하는 것이다. 다음 대회를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진 사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그는 “지도자로서 원했던 목표를 이루지 못하면 당연히 책임지고 분석해야 한다. 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어떤 조치도 생각하고 있는 게 없다. 2년 반 동안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을 목표로 팀이 더 발전해야 한다. 우리 앞에 쌓인 과제가 많다”고 했다. 사퇴가 아니라 월드컵 예선 등 다음 여정을 준비하겠다는 뜻이다. 사실상 사퇴를 거부한 것이다.

스스로 아시안컵 성적을 기준으로 재평가받겠다던 입장과는 완전히 달라졌다. 그는 지난해 9월 “아시안컵에서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을 때, 경질하든 무엇을 하든 비난할 시간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때 결과가 좋지 않으면 시험대에 오를 수밖에 없다. 그게 감독의 숙명”이라고 했다. 역대 최고 전력에도 4강에서 탈락한 이번 대회는 분명 실패한 대회지만, 적어도 클린스만 감독 스스로 지휘봉을 내려놓을 생각은 없는 것이다.

자연스레 국민들의 시선은 정몽규 회장과 대한축구협회로 향한다. 클린스만 감독 스스로 물러날 의사가 없다면, 그의 거취를 두고 결단을 내릴 수 있는 건 결국 정 회장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미 경질을 결단할 명분들은 차고 넘친다. 비단 우승에 실패한 아시안컵 '결과'뿐만이 아니다. 클린스만호는 지난 조별리그부터 4강까지 어느 한 경기도 좋은 경기력이나 시원한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심지어 결승을 눈앞에 둔 4강에선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87위 요르단을 상대로 유효 슈팅을 단 1개도 기록하지 못하는 졸전 끝에 굴욕적인 참패를 당했다.

4강까지 오르는 여정동안 클린스만 감독의 역할이 얼마나 컸는지도 의문이다. 여전히 클린스만 감독의 전술적인 색채는 불분명하기만 하다. 이른바 '해줘 축구'가 클린스만 감독의 전술이라는 비아냥이 나오는 것 역시 같은 이유에서다. 6경기에서 10실점, 한국축구 아시안컵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실점을 허용한 건 클린스만 감독이 부임 후 1년 간 수비 조직력조차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는 뜻이다. 

결과를 떠나 클린스만 감독을 계속 믿고 맡길 만한 '작은 희망'이라도 발견한 대회로 평가하기도 무리가 있다. '한국의 아시안컵 우승을 바라긴 하지만, 우승하면 클린스만 감독과 동행이 불가피해지는 현실'에 복잡한 심경을 내비친 팬들이 많았던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그만큼 클린스만 감독의 축구에 확신들이 없다는 뜻이다.

파울루 벤투(포르투갈) 전임 감독 시절과 선수단 내부의 반응이 사뭇 다르다는 점도 짚어볼 만한 부분이다. 벤투 전 감독 역시 재임 기간 대부분 여론의 비판을 받았는데, 적어도 선수들 인터뷰에선 벤투 감독의 전술과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공통적으로 묻어났다. 그러나 클린스만 감독 부임 후 선수들의 반응 속엔 감독의 전술이나 방향성 등에 대한 호평을 거의 찾아볼 수 없거나, 벤투 감독 시절과는 분명하게 결이 다른 모습이다.

더구나 클린스만 감독은 부임 직후부터 재택·외유 논란 등 경기 외적인 요소들로도 많은 비판을 받았다. 들끓는 여론에도 클린스만 감독은 꿋꿋하게 ‘마이웨이’를 외치며 아시안컵 우승을 자신했다. 성난 팬심이 조금이나마 잦아든 건 클린스만 감독이 자신하던 아시안컵을 보고 판단하기 위해서였다. 결과적으로 아시안컵마저 처참한 실패로 돌아갔으니, 팬들 입장에서도 더 이상 클린스만 감독을 기다려줄 이유가 사라졌다.

지난해 클린스만 감독 선임설이 돌 당시부터 이미 그의 전술적인 역량 등에 의구심이 잇따랐다. 그럼에도 지휘봉을 잡을 수 있었던 건 결국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의 결심이 컸다. 클린스만 감독의 대표팀 사령탑으로서 지난 1년 간 행태, 이번 아시안컵 우승 실패의 책임을 묻는 것 역시 그의 몫이어야 한다. 정 회장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건 물론이다. 

결과를 떠나 클린스만 감독을 계속 믿고 맡길 만한 '작은 희망'이라도 발견한 대회로 평가하기도 무리가 있다. '한국의 아시안컵 우승을 바라긴 하지만, 우승하면 클린스만 감독과 동행이 불가피해지는 현실'에 복잡한 심경을 내비친 팬들이 많았던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그만큼 클린스만 감독의 축구에 확신들이 없다는 뜻이다.

파울루 벤투(포르투갈) 전임 감독 시절과 선수단 내부의 반응이 사뭇 다르다는 점도 짚어볼 만한 부분이다. 벤투 전 감독 역시 재임 기간 대부분 여론의 비판을 받았는데, 적어도 선수들 인터뷰에선 벤투 감독의 전술과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공통적으로 묻어났다. 그러나 클린스만 감독 부임 후 선수들의 반응 속엔 감독의 전술이나 방향성 등에 대한 호평을 거의 찾아볼 수 없거나, 벤투 감독 시절과는 분명하게 결이 다른 모습이다.

더구나 클린스만 감독은 부임 직후부터 재택·외유 논란 등 경기 외적인 요소들로도 많은 비판을 받았다. 들끓는 여론에도 클린스만 감독은 꿋꿋하게 ‘마이웨이’를 외치며 아시안컵 우승을 자신했다. 성난 팬심이 조금이나마 잦아든 건 클린스만 감독이 자신하던 아시안컵을 보고 판단하기 위해서였다. 결과적으로 아시안컵마저 처참한 실패로 돌아갔으니, 팬들 입장에서도 더 이상 클린스만 감독을 기다려줄 이유가 사라졌다.

지난해 클린스만 감독 선임설이 돌 당시부터 이미 그의 전술적인 역량 등에 의구심이 잇따랐다. 그럼에도 지휘봉을 잡을 수 있었던 건 결국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의 결심이 컸다. 클린스만 감독의 대표팀 사령탑으로서 지난 1년 간 행태, 이번 아시안컵 우승 실패의 책임을 묻는 것 역시 그의 몫이어야 한다. 정 회장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건 물론이다. 


59a2712ee852b2dbd1df5156e093c5a6_1707288066_226.jpg
 
결단의 본질은 클린스만 경질이 아니라 정몽규 스스로 사임이지...

제발 축협에서 꺼져서 부실한 니네 현대산업개발 이나 잘 챙겨라! XX

59a2712ee852b2dbd1df5156e093c5a6_1707288177_3271.gif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1

그냥해봐님의 댓글

옛날 같으면 시민들에 의해 끌려나와
단두대에 올렸다

축협 민심 역대 최악

축하합니다. 첫댓글 포인트 1GOLD를 획득하였습니다.

전체 6,074 건 - 3 페이지
제목
레벨 목풍 119 0 0 2024.05.05
레벨 목풍 242 0 0 2023.09.28
레벨 목풍 141 0 0 2024.05.05
레벨 목풍 278 0 0 2023.09.30
레벨 목풍 129 0 0 2024.05.06
레벨 목풍 189 0 0 2023.10.01
레벨 목풍 191 0 0 2024.05.08
레벨 목풍 273 0 0 2023.10.01
레벨 목풍 117 0 0 2024.05.10
레벨 목풍 244 0 0 2023.10.01
레벨 목풍 101 0 0 2024.05.11
레벨 목풍 188 0 0 2023.10.01
레벨 목풍 113 0 0 2024.05.12
레벨 목풍 270 0 0 2023.10.02
레벨 목풍 162 0 0 2024.05.12
레벨 목풍 381 0 0 2023.10.03
레벨 목풍 107 0 0 2024.05.13
레벨 목풍 231 0 0 2023.10.03
레벨 목풍 96 0 0 2024.05.15
레벨 목풍 233 0 0 2023.10.04
레벨 목풍 127 0 0 2024.05.15
레벨 목풍 275 0 0 2023.10.04
레벨 목풍 144 0 0 2024.05.17
레벨 목풍 232 0 0 2023.10.05
레벨 목풍 90 0 0 2024.05.18
레벨 목풍 303 0 0 2023.10.06
레벨 목풍 82 0 0 2024.05.19
레벨 목풍 219 0 0 2023.10.07
레벨 목풍 116 0 0 2024.05.20
레벨 목풍 211 0 0 2023.10.07
레벨 목풍 114 0 0 2024.05.20
레벨 목풍 248 0 0 2023.10.08
레벨 목풍 121 0 0 2024.05.20
레벨 목풍 278 0 0 2023.10.08
레벨 목풍 122 0 0 2024.05.21
레벨 목풍 222 0 0 2023.10.09
레벨 목풍 74 0 0 2024.05.22
레벨 목풍 218 0 0 2023.10.10
레벨 목풍 84 0 0 2024.05.22
레벨 목풍 265 0 0 2023.10.10
레벨 목풍 77 0 0 2024.05.24
레벨 목풍 240 0 0 2023.10.11
레벨 목풍 113 0 0 2024.05.25
레벨 목풍 264 0 0 2023.10.12
레벨 목풍 84 0 0 2024.05.26
레벨 목풍 242 0 0 2023.10.13
레벨 목풍 72 0 0 2024.05.28
레벨 목풍 243 0 0 2023.10.14
레벨 목풍 75 0 0 2024.05.29
레벨 목풍 290 0 0 2023.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