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톡하고

뉴스게시판

“윤석열 페미니스트 아니다”…국민의힘, 황급한 뒷수습 왜?

본문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미국의 유력지 <워싱턴포스트>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본인을 ‘페미니스트’라고 지칭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은 보도 직후 ‘페미니스트’ 언급이 빠진 답변을 ‘원문’이라며 공개했으나, <워싱턴포스트> 기자가 공개한 답변 원문에는 본인을 페미니스트라고 지칭한 문장이 포함되어 있었다. 국민의힘은 “원래는 ‘페미니스트’ 언급 문장을 빼기로 했으나 최종 데스킹을 거치지 않은 답변이 전달된 것”이라는 취지로 해명했다.

<워싱턴포스트>는 7일(미국 동부시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서면 인터뷰한 기사를 내보냈다. 기사는 “윤 후보는 여성의 권리를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는 선거 캠페인으로 비판받아왔다”며 “윤 후보에게 그가 페미니스트인지 물었다”고 했다. 기사는 윤 후보가 이 질문에 대해 “페미니즘을 해석하는 방식은 다양하다고 생각한다”고 전제한 뒤 “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의 하나로서, 성차별과 불평등을 현실로 인정하고 불평등과 차별을 시정해 나가려는 운동을 말한다. 그러한 차원에서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한다(“I think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interpret feminism.” He added: “Feminism is a form of humanismrecognizing that gender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is a reality and it is a movement to correct thatIn that sense, I consider myself a feminist.”)”고 답했다고 썼다. 


5fe91f33c5a72eb83749e0ae55a8c66c_1646724408_6291.jpg
국민의힘이 8일 오전 공개한 <워싱턴포스트> 서면답변 원문. 국민의힘 제공



<워싱턴포스트>의 기사를 통해 윤 후보가 본인을 ‘페미니스트’라고 지칭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공보단은 8일 오전 ‘서면답변 원문’이라며 “페미니스트” 문장이 없는 답변서를 공개했다. 공보단은 “어제(7일) 보도된 <워싱턴포스트> 기사는 선대본부가 워싱턴포스트 쪽에 서면 답변하는 과정에서 행정상 실수로 전달된 축약본에 근거해 작성됐다”며 “이에 서면답변 원문을 제공해드리니, 보도에 참고하시기 바란다”고 했다.

국민의힘이 공개한 서면답변 원문에 따르면, 윤 후보는 “후보님 정책이 여성을 차별한다는 평가에 대해 어떻게 보나. 후보님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저는 남성과 여성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관점이 아니라 개인이 처한 문제를 개인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해결하고자 한다. 성별을 기준으로 한 구분은 필연적으로 약자에게 사각지대를 만들고, 오히려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어 “따라서 저는 남성과 여성을 집합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개개인의 문제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국정을 운영하겠다. 저는 티브이(TV)토론회에서 ‘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의 하나로서, 여성의 성차별과 불평등을 현실로 인정하고 불평등과 차별을 시정해 나가려는 운동을 말하는 것’이라고 했다”라고 덧붙였다. 대선후보자 토론회에서 밝혔던 ‘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의 하나’라는 입장을 반복했을 뿐, <워싱턴포스트> 기사에 적힌 것처럼 “그러한 차원에서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한 적은 없다는 것이다. 


5fe91f33c5a72eb83749e0ae55a8c66c_1646724435_306.jpg

                                미셸 예희 리 <워싱턴포스트> 도쿄·서울지국장이 공개한 답변 원문. 트위터 갈무리



하지만 논란 뒤 미셸 예희 리 도쿄·서울지국장이 공개한 답변 원문은 국민의힘이 공개한 서면답변 원문과 달랐다. 리 지국장이 8일 자신의 트위터에 공개한 답변을 보면, 윤 후보는 “페미니즘을 해석하는 방식은 다양하다고 생각한다. 저는 토론회에서 ‘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의 하나로서, 성차별과 불평등을 현실로 인정하고 불평등과 차별을 시정해 나가려는 운동을 말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밝혔으며, 그러한 차원에서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국민의힘이 공개한 답변과 달리 본인을 “페미니스트”라고 지칭한 문구가 존재하는 것이다. 리 지국장은 해당 답변 원문을 공개하며 “우리는 기사 속에서 전체 답변을 그대로 인용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쪽은 <워싱턴포스트>의 질의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최종 데스킹을 거치지 않은 답변서가 전달되면서 발생한 착오라는 입장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그런 차원에서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한다’는 부분은 실무진이 답변을 써서 올렸던 것”이라며 “최종 데스킹 과정에서 (그 부분을) 그래도 빼자고 했는데, <워싱턴포스트>에 최종 데스킹 전 파일이 넘겨진 실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답변과 달리 국민의힘 공보단이 낸 서면답변 원문에 ‘페미니스트’ 문장이 빠진 것에 대해서는 “너무 빨리 해명하려다 보니 착오가 있었던 것이다. 조율과정에서 미스 정도로 생각해달라”고 해명했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aver?mode=LSD&mid=shm&sid1=001&oid=028&aid=0002582023&rankingType=RANKING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801 건 - 9 페이지
제목
레벨 목풍 49 0 0 2022.04.28
레벨 목풍 58 0 0 2022.04.28
레벨 목풍 38 0 0 2022.04.29
레벨 목풍 37 0 0 2022.04.29
레벨 목풍 57 0 0 2022.05.01
레벨 목풍 59 0 0 2022.05.02
레벨 목풍 44 0 0 2022.05.03
레벨 목풍 54 0 0 2022.05.04
레벨 목풍 88 0 0 2022.05.05
레벨 목풍 66 0 0 2022.05.06
레벨 목풍 54 0 0 2022.05.06
레벨 목풍 49 0 0 2022.05.07
레벨 목풍 47 0 0 2022.05.09
레벨 목풍 53 0 0 2022.05.09
레벨 목풍 54 0 0 2022.05.10
레벨 목풍 50 0 0 2022.05.12
레벨 목풍 51 0 0 2022.05.14
레벨 목풍 59 0 0 2022.05.16
레벨 목풍 48 0 0 2022.05.17
레벨 목풍 35 0 0 2022.05.18
레벨 목풍 35 0 0 2022.05.20
레벨 목풍 65 0 0 2022.05.21
레벨 목풍 63 0 0 2022.05.23
레벨 목풍 84 0 0 2022.05.24
레벨 목풍 48 0 0 2022.05.25
레벨 목풍 54 0 0 2022.05.26
레벨 목풍 63 0 0 2022.05.27
레벨 목풍 62 0 0 2022.05.28
레벨 목풍 88 0 0 2022.05.30
레벨 목풍 69 0 0 2022.05.31
레벨 목풍 77 0 0 2022.06.01
레벨 목풍 71 0 0 2022.06.02
레벨 목풍 175 0 0 2022.06.03
레벨 목풍 61 0 0 2022.06.04
레벨 목풍 61 1 0 2022.06.07
레벨 목풍 67 0 0 2022.06.08
레벨 목풍 174 0 0 2022.06.09
레벨 목풍 64 0 0 2022.06.11
레벨 목풍 78 0 0 2022.06.13
레벨 목풍 94 0 0 2022.06.14
레벨 목풍 68 0 0 2022.06.16
레벨 목풍 87 0 0 2022.06.17
레벨 목풍 65 0 0 2022.06.19
레벨 목풍 61 0 0 2022.06.20
레벨 목풍 64 0 0 2022.06.21
레벨 목풍 76 0 0 2022.06.21
레벨 목풍 75 0 0 2022.06.22
레벨 목풍 63 0 0 2022.06.23
레벨 목풍 66 0 0 2022.06.24
레벨 목풍 75 0 0 2022.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