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톡하고

뉴스게시판

윤석열, 이재명과 양자토론 요청에 "토론하면 또 서로 공격"(종합)

본문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5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의 양자토론과 관련해 "토론을 하면 또 서로 공격 방어를 하게 되고 자기 생각을 제대로 설명하기가 어렵다"고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윤 후보는 이날 경제분야 유튜브 채널 '삼프로TV'에 출연해 한 진행자로부터 "이재명 후보와 경제 정책에 대해서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토론을 하실 수 있는 그런 시간을 한번 주시라"고 요청하자 이같이 답했다.

윤 후보는 "실제 해보니까 자기의 생각을 얘기하고 그거를 우리 시청자들이나 전문가들이 보고 스스로 판단하는 게 제일 좋을 것 같다"며 "그런 기회가 많아야 되지, 이게 토론을 하게 되면 결국은 이게 싸움밖에 안 나온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볼 때는 국민들 입장에서 봤을 때 그래도 이 나라의 공적인 정부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를 뽑는데 그 사람의 어떤 사고방식이나 이런 것을 검증해 나가는데, 저는 이 토론이라는 게 이렇게 정책 토론을 많이 한다는 게 별로 그렇게 도움이 안 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윤 후보는 그러면서 "국민의힘 경선 16번 했지만, 그 토론 뭐 누가 많이 보셨나요?"라고 반문했다.

이 같은 발언은 이재명 후보와의 토론 대결이 정책 검증 대신 비방전으로 변질될 것이라는 우려하에 나온 것이다. 윤 후보가 당내 경선 과정에서 인신공격 등 치열한 네거티브 공방으로 곤혹을 치른 점도 토론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과 무관치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국민의힘 경선 토론 자체가 민주당에 비해 횟수는 많았지만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던 만큼 윤 후보의 위 발언은 모순되는 것 아니냐는 견해도 있다. 윤 후보가 경선이 끝난 후 한동안 컨벤션 효과를 누렸던 이유도 경선의 성공요인으로 꼽혔던 TV토론이 상당부분 흥행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다. 


일각에선 윤 후보가 당 대선후보로 선출된 지 한 달 이상 지났지만, 아직까지 대표적인 공약을 내놓지 않고 있어 정책 능력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을 의식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 후보가 달변가인 만큼 윤 후보로선 정책토론에 부담감이 따를 수밖에 없고, 이를 토론에 대한 불신감으로 대신 피력하면서 당분간 이 후보와의 일대일 토론을 늦추려는 전략 아니냐는 분석이다.

한편 국민의힘은 일대일 토론을 요청하는 민주당을 향해 이 후보의 "기본소득 철회, 국토보유세 포기, 부동산공약 뒤집기, 탈원전 정책 포장하기"를 거론하면서 "자고 일어나면 공약이 바뀌는 후보와 무슨 토론을 할 수 있냐"고 맞받았다.

장순칠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에서 "토론 중에 불리하면 '철회한다 했더니 진짜 철회한 줄 알더라' 이런 얘기나 늘어놓을 텐데, 아무리 생각해도 국민께 예의가 아니다"라며 "민주당 경선과정에서 토론 때문에 지지율 떨어지자 코로나 핑계 대고 토론을 취소시켜서 당원과 타후보 측에 항의받은 분 아닌가"라고 쏘아붙였다.

이어 "국민의힘 경선 본선에서만 맞짱토론을 포함해 4명이 참여하는 토론을 10여차례 했다. 언제든 토론은 환영한다"며 "그러나 토론도 격이 맞아야 할 수 있다. 아침저녁으로 입장이 바뀌고, 유불리 따지며 이말 저말 다하고 아무말이나 지어내는 후보 얘기를 굳이 국민 앞에서 함께 들어줘야 하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받으라는 특검은 안 받고 자다가 봉창 두드리듯 토론 타령 그만하라"며 "지금 이재명 후보가 할 일은 단군 이래 최대 비리 사건인 대장동 게이트의 진실을 묻는 국민의 물음에 답해야 하는 것임을 직시하는 것"이라며 이 후보가 국민들께 드리는 성탄절 최고의 선물은 대장동 특검을 하루라도 빨리 받는 것뿐이라고 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0&oid=003&aid=0010908947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801 건 - 1 페이지
제목
레벨 목풍 107 4 0 2021.10.31
레벨 목풍 90 1 0 2021.11.03
레벨 목풍 131 5 0 2021.11.05
레벨 목풍 81 1 0 2021.11.22
레벨 목풍 83 0 0 2021.11.26
레벨 목풍 52 0 0 2021.11.29
레벨 목풍 73 0 0 2021.12.02
레벨 목풍 88 2 0 2021.12.03
레벨 목풍 80 0 0 2021.12.07
레벨 목풍 94 0 0 2021.12.08
레벨 목풍 82 0 0 2021.12.11
레벨 목풍 86 0 0 2021.12.13
레벨 목풍 99 1 0 2021.12.14
레벨 목풍 90 0 0 2021.12.15
레벨 목풍 60 0 0 2021.12.17
레벨 목풍 66 1 0 2021.12.20
레벨 목풍 79 0 0 2021.12.21
레벨 목풍 105 0 0 2021.12.22
레벨 목풍 56 1 0 2021.12.24
레벨 목풍 60 1 0 2021.12.25
레벨 목풍 70 0 0 2021.12.27
레벨 목풍 75 0 0 2021.12.28
레벨 목풍 71 0 0 2021.12.29
레벨 목풍 60 0 0 2021.12.30
레벨 목풍 45 1 0 2022.01.01
레벨 목풍 54 0 0 2022.01.03
레벨 목풍 57 0 0 2022.01.04
레벨 목풍 59 0 0 2022.01.05
레벨 목풍 44 0 0 2022.01.06
레벨 목풍 70 0 0 2022.01.07
레벨 목풍 64 2 0 2022.01.08
레벨 목풍 93 0 0 2022.01.09
레벨 목풍 72 1 0 2022.01.10
레벨 목풍 33 0 0 2022.01.11
레벨 목풍 54 0 0 2022.01.12
레벨 목풍 86 1 0 2022.01.13
레벨 목풍 57 0 0 2022.01.14
레벨 목풍 59 0 0 2022.01.15
레벨 목풍 90 0 0 2022.01.16
레벨 목풍 74 0 0 2022.01.17
레벨 목풍 86 0 0 2022.01.17
레벨 목풍 47 0 0 2022.01.18
레벨 목풍 87 1 0 2022.01.18
레벨 목풍 61 0 0 2022.01.19
레벨 목풍 45 0 0 2022.01.20
레벨 목풍 53 0 0 2022.01.21
레벨 목풍 78 1 0 2022.01.21
레벨 목풍 48 0 0 2022.01.22
레벨 목풍 62 0 0 2022.01.23
레벨 목풍 73 0 0 2022.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