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톡하고

유머

[기타] 지하철에서 노숙한 보육원 출신 국가대표

본문

cc690726-9af8-40fd-8130-c9f72345c977.jpg 




대글들...

1 저출산위원횐지 뭔지랑 여가부에 쓰는 돈이랑, 이상한 여성단체에 쓰는돈, 그 외에 이상한 시민단체에 주는 지원비 싹 끌어와서

보육원 애들 지원해주고, 애들 나가기 전에 취업교육이나 저런 부동산 관련 교육 좀 시켜주고

그 외에 사회정착 지원을 잘 해주면 그 애들이 사회에 정착해서 가정을 이룰텐데

저출산대책인지 뭔지에 조단위의 돈을 썼다는데 차라리 그 돈을 고아원이나 보육원 지원비로 썼음 좋겄다..

2 와 진짜 저렇게 힘든 사람 보증금도 등처먹는 넘이 있구나

3 진짜 초중고 때 필수적으로 실생활에 쓰이는 경제 교육이 꼭 필요한 것 같네요

요즘은 받는지 안받는지 모르지만 저희때도 그런게 없어서 나이는 성인이 됐는데 모르거나 해본 적 없는 것들이 꽤 많았거든요

4 https://beautifulfund.org/campaign/

아름다운 재단에서 열여덟 어른 캠페인 이라는 이름으로 지원 및 홍보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고

그 활동으로 인해 작년부터 국회에선 법 개정 작업, 행정부에선 지원방안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892245

https://www.hani.co.kr/arti/society/rights/1003353.html

https://www.chosun.com/national/welfare-medical/2021/07/14/EC7OIBLLDRGB3CQSG374F5YCEU/

여가부가 왜 있는지 모르겠는 증거....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5

바락님의 댓글

이건 여가부 문제와 상관없이 보육원출신 애들은 항상 저렇게 말하던데..
주위에 어른이 아무도 없어서 도움을 못받았다...
의지가 약한건 아닐까하네여..
주위에 모르는 어른이라도 찾아가서 물어볼 생각은 왜 못했을까?
그리고 요즘 인터넷만 뒤지면 정보가 얼마나 무수히 많은데 맨날 아무것두 모른다는 소리만 할까?
차라리 속아서 사기를 당했따면 더 이해가 갈 정도라는..
안타까운건 안타까운거지만 본인들에게도 문제가 있따는걸 알았으면..
더불어..국가에저 좀더 타이트하게 정책을 펴서 빈틈을 줄여주는것두 중요할듯..그게 여가부가 할 일일텐데...일 안하냐?

축하합니다. 첫댓글 포인트 1GOLD를 획득하였습니다.

비처럼님의 댓글의 댓글

주위 어른들에게 말 할 여건이 되지 않았을겁니다.
항상 위축되어있고 사회를 바라보는
온 갖 감정들과 어린나이에 불안감에 어찌해야하는지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을 고려해보면요.
물어보면되지 왜 안그랬을까라는 의문이 들텐데
말그대로 맨붕상태였을 거에요.
아무것도 모르는 사회소외층에 사기치는 놈들도 비일비재하구요.
저도 어렸을적 주변에 저런 친구들이 있어서 공감이 됩니다.
버스탈 돈 없어서 한시간 이상 걸어다니고
밥 값 아끼려고 고작 하루 두 번 컵라면 먹던 어릴적 친구가 생각나네요.
어른의 눈으로 보기에 어리숙하고 자신의 상황을 헤쳐나갈 의지가
없어보일 수 있으나 당사자가 아니면 저런 암담한 상황과 현실은
정말 모르는거에요. 제가 주제넘는 말 주절거렸는데 오해 없으셨음 합니다.

바락님의 댓글의 댓글

나도 안타까워서 그래여..
물론 모르는거 많고 일반적인 가정에서 자란 20살과는 차이가 있겠죠..
그래두 옛날처럼 정보가 꽉막힌 사회도 아니고 좀만 노력하면 좋을텐데 보육원출신 스스로도 사회의 발전속도보다는 좀 느린거 같아여..
더 안타까운게 사회시스템이긴 하지만여..

비처럼님의 댓글의 댓글

네, 환경의 차이가 커요.
개인적으로 저도 부유한 환경에서 자라진 않았지만
그래서그런지 저 나이 때 이리저리 치이고 어른들에게 느끼는 불신감과 사회에 느끼는
안좋은 감정들이 이 꽤 컸거든요.
비관적으로 바라보던 제 친구녀석은 고작 22년 삶으로
젊은 인생을 스스로 포기하고 먼저 하늘나라로 갔는데
군대에서 그 소식을 접하고 고참들 모르게 화장실에서 울었던 기억이 나네요.
다른 녀석들은 가정 이루고 열심히 살고 있지만
종종 먼저 떠난 친구를 떠올리면 힘들 때 곁에 있어주지 못해 늘 가슴이 아프죠.
아무튼 이렇게 댓글로나마 이야기 나눌 수 있어서 고맙고요. 늘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황웅님의 댓글의 댓글

실질적으로 저 상황에 닥치면 정상적인 애들도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님 말씀 마따나 정보의 홍수기대에 사는데 저런게 가능하냐고 묻는것은 정보의 홍수기 때문에 저럴수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좀 도 자세하게 알려줄 어른들만 있다면 좀 달라졌을겁니다.
그리고 저것은 비단 저 아이들만의 이야기가 아니고 젊은 아이들이 세상물정을 모르고 속이려는 자를 이길수가 없어요.
그래서 학교, 적어도 중고등학교의 과정에서 실물경제에 대해서 가르칠 필요가있어요.
모든 학생들이 겪을 상황에 대비해서...
저 선수가 국대 까지 하면서 나름 인정 받는 정도의 위치에 있는데도 저럴진데 만약에 일반 아이였다면 더 당할 수도 있겠죠...
물론 운동만 하던 친구라 몰랐을 수도 있고요....
여가부가 해야되는게 저런 소외된 친구들의 자립을 할 수있게 세심히 살펴주어야 가족부라는 이름에 합당한거고요.
달리 복지의 사각지대가 나는게 아닙니다.
님도 글을 읽어 보니 안타깝다고 말씀하시는데 이 글에선 전혀 따듯함과 안타까움이 뭍어 있지가 않네요
우리 같은 어른들이 말이라도 따듯하게 해주고 분개하며 공감해 주는게 바뀜의 시작이 되지않을까 합니다.
전체 1,773 건 - 1 페이지
제목
레벨 황웅 240 0 1 2021.11.13
레벨 별찌 181 0 1 2022.01.18
레벨 올라 199 0 1 2021.11.27
레벨 별찌 194 0 1 2022.02.04
레벨 별찌 340 3 0 2021.11.23
레벨 별찌 243 4 0 2021.11.23
레벨 황웅 135 0 0 2021.11.21
레벨 별찌 258 2 0 2021.11.21
레벨 황웅 165 4 0 2021.11.20
레벨 별찌 674 0 0 2021.11.20
레벨 별찌 295 1 0 2021.11.19
레벨 황웅 100 0 0 2021.11.18
레벨 별찌 283 0 0 2021.11.18
레벨 척탄병 104 0 0 2021.11.16
레벨 황웅 115 1 0 2021.11.16
레벨 별찌 350 0 0 2021.11.16
레벨 별찌 389 0 0 2021.11.16
레벨 황웅 131 1 0 2021.11.15
레벨 황웅 136 0 0 2021.11.15
레벨 황웅 135 0 0 2021.11.15
레벨 별찌 277 1 0 2021.11.15
레벨 황웅 112 1 0 2021.11.14
레벨 황웅 91 0 0 2021.11.14
레벨 불나방 143 3 0 2021.11.14
레벨 황웅 138 0 0 2021.11.13
레벨 황웅 206 2 0 2021.11.13
레벨 황웅 109 0 0 2021.11.12
레벨 별찌 251 0 0 2021.11.12
레벨 어쩐지 327 0 0 2023.03.24
레벨 어쩐지 239 0 0 2023.03.14
레벨 어쩐지 182 0 0 2023.03.04
레벨 어쩐지 164 0 0 2023.02.26
레벨 어쩐지 209 0 0 2023.02.21
레벨 어쩐지 169 0 0 2023.02.19
레벨 어쩐지 164 0 0 2023.02.11
레벨 어쩐지 175 0 0 2023.01.23
레벨 별찌 619 1 0 2022.06.18
레벨 별찌 254 0 0 2022.06.16
레벨 별찌 244 0 0 2022.06.15
레벨 별찌 268 0 0 2022.06.14
레벨 별찌 239 0 0 2022.06.14
레벨 별찌 251 0 0 2022.06.12
레벨 별찌 234 0 0 2022.06.11
레벨 별찌 210 0 0 2022.06.07
레벨 별찌 277 0 0 2022.06.05
레벨 별찌 302 0 0 2022.06.02
레벨 별찌 272 0 0 2022.05.31
레벨 별찌 187 0 0 2022.05.29
레벨 별찌 252 0 0 2022.05.28
레벨 별찌 327 0 0 2022.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