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톡하고

자유게시판

GDP 개편에 국가채무비율 하향…중기 채무비율 50% 이하 가시권

본문

윤석열 대통령, 2024년 국가재정전략회의 모두발언 (세종=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2024년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4.5.1 


최근 국내총생산(GDP) 개편으로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내려가면서 2028년까지의 중기 국가채무 비율이 50%를 밑돌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만 세수 부진 속에서 내년 사업 소요를 충당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정부의 정책 의지에 따라 국가채무 비율의 목표치 조정 폭은 크지 않을 수 있다.

9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최근 GDP 등 국민계정 통계의 기준연도가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되면서 GDP 대비 국가채무(D1) 비율은 작년 말 50.4%에서 46.9%로 내려갔다.

지난해 GDP가 기준연도 변경으로 2천236조원에서 2천401조원으로 커진 데 따른 결과다. 경제총조사 등 GDP 산출의 토대가 변경되면서 각 산업의 부가가치·최종수요 등이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국가채무는 1천126조7천억원이었다.

GDP가 바뀌면서 정부가 중기적으로 예측·산정한 국가채무 비율도 내려가게 됐다.

정부가 지난해 국회에 제출한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올해 51.0%, 내년 51.9%, 2026년 52.5%, 2027년 53.0%로 전망됐다.

새롭게 바뀐 작년 GDP에 국가재정운용계획의 중기 국가채무 수준과 명목 GDP 증가율을 적용해보면,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올해 47.5%, 내년 48.3%, 2026년 48.9%, 2027년 49.3%로 내려간다.

GDP 개편 이후 중기 국가채무 비율의 연간 증가 폭이 0.4∼0.8%포인트(p)인 것을 고려해보면, GDP 변경을 기계적으로 적용했을 때 2028년까지 국가채무 비율을 50% 이하로 묶을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GDP 개편 전 국가채무비율이 지난해 처음 50%를 넘어섰다는 점에서 큰 폭의 변화다.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다만 정부가 오는 8월 내놓을 2024∼2028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이 수준대로 국가채무 비율을 낮출지는 미지수다. 내년 예산을 편성하는 상황이 녹록지 않은 탓이다.

올해 들어 4월까지 국세 수입은 125조6천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조4천억원(6.3%) 감소했다. 법인세 감소가 주된 영향을 미치면서 지난해에 이어 세수가 예상보다 부족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올해 세수가 부진하면 내년 수입도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정부는 내년 국세 수입을 401조3천억원으로 올해 세입 예산(367조4천억원)보다 9.2%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더구나 중기 계획상 내년 예산 증가분 대부분이 의무지출일 것으로 예상돼 다른 분야에서 지출을 늘리기 빠듯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신규사업 소요는 반영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연구개발(R&D) 예산의 경우 역대 최대 수준으로의 증액을 예고한 상태다. 예산 당국인 기재부는 내년 R&D 예산을 새롭게 분류한 기준으로 지난해 R&D 예산(29조3천억원)보다 늘리겠다고 밝혔다.

저출생 대응, 의료개혁 등의 분야와 함께 민생토론회 등에서 제기된 과제들도 내년 예산안에 반영해야 한다. 


[그래픽] 국세수입 현황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3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4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세수입은 법인세수가 13조원 가까이 줄어들며 총 125조6천억원으로 집계돼 1년 전 


이에 정부가 여유가 생긴 채무여력을 필요한 분야의 재정 소요에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 개편으로 GDP가 늘어난 만큼 국가채무 비율 목표치를 낮추지 않고 지출을 충당하는 데 활용한다는 것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최근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중기(2024∼2028년) 계획기간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을 50%대 초중반 수준에서 관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윤석열 정부가 출범 때부터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강조해왔다는 점에서 GDP 개편 전 2023∼2027년 중기계획 수준으로 국가채무 비율을 그대로 가져가기에는 비판의 소지가 있다.

결국 내년 예산안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그사이의 절충점을 찾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건전재정 기조와 세수 상황, 신규 사업 소요 등의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중기 국가채무 비율 조정과 관련해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735288?rc=N&ntype=RANKING 


2fe7dc8b26ad9b6afed8d954a7cdeee9_1717894109_2291.gif
 

지난 정권에서 이랬어봐! 아주 국짐&기레기&2찍놈들이 정부가 대놓고 통계조작을 했다고


아주 나라가 흔들릴 정도로 개난리를 쳤을껀데....


하여간 '내로남불'은 개잡것들의 종특인 거지.....ㅉㅉㅉ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1

수류화개님의 댓글

대놓고 주가조작, 통계조작, 조작수사, 건희얼굴 조작
조작 및 사기 정권

축하합니다. 첫댓글 포인트 1GOLD를 획득하였습니다.

전체 2,687 건 - 51 페이지
제목
레벨 목풍 48 0 0 2024.05.29
레벨 목풍 47 0 0 2024.06.02
레벨 목풍 47 0 0 2024.06.06
레벨 목풍 47 0 0 2024.06.02
레벨 목풍 47 0 0 2024.05.30
레벨 목풍 47 0 0 2024.06.16
레벨 목풍 47 0 0 2024.06.03
레벨 목풍 47 1 0 2024.06.15
레벨 목풍 47 0 0 2024.06.07
레벨 목풍 47 0 0 2024.06.16
레벨 목풍 47 0 0 2024.05.23
레벨 목풍 46 0 0 2024.06.06
레벨 목풍 46 0 0 2024.06.05
레벨 목풍 46 0 0 2024.06.14
레벨 목풍 46 0 0 2024.06.13
레벨 목풍 46 0 0 2024.06.06
레벨 목풍 46 1 0 2024.06.07
레벨 목풍 46 1 0 2024.06.07
레벨 목풍 46 1 0 2024.06.01
레벨 목풍 46 0 0 2024.06.15
레벨 목풍 46 0 0 2024.06.06
레벨 목풍 46 0 0 2024.06.10
레벨 목풍 45 0 0 2024.05.31
레벨 목풍 45 0 0 2024.06.10
레벨 목풍 45 0 0 2024.06.06
레벨 목풍 45 0 0 2024.06.11
레벨 목풍 45 0 0 2024.06.12
레벨 목풍 45 0 0 2024.05.30
레벨 목풍 45 0 0 2024.06.12
레벨 목풍 45 0 0 2024.05.22
레벨 목풍 45 1 0 2024.05.30
레벨 목풍 45 0 0 2024.06.09
레벨 목풍 45 0 0 2024.06.06
레벨 목풍 45 0 0 2024.06.05
레벨 목풍 45 0 0 2024.06.03
레벨 목풍 45 0 0 2024.06.07
레벨 목풍 44 0 0 2024.06.11
레벨 목풍 44 0 0 2024.06.06
레벨 목풍 44 0 0 2024.06.13
레벨 목풍 44 0 0 2024.06.14
레벨 목풍 44 0 0 2024.06.11
레벨 목풍 44 0 0 2024.06.08
레벨 목풍 44 0 0 2024.06.14
레벨 목풍 44 0 0 2024.06.14
레벨 목풍 44 0 0 2024.06.17
레벨 목풍 44 0 0 2024.06.04
레벨 목풍 44 0 0 2024.06.15
레벨 목풍 44 0 0 2024.06.10
레벨 목풍 43 0 0 2024.06.08
레벨 목풍 43 0 0 2024.06.13